읽지 않은 알림 632개와
진행해야 할 주문 0개를 확인해 주세요
HOME 피플 아지트 지식 큐레이션
2025-07-25 16:45:33
302
성공적인 사업제안서 PPT에 꼭 들어가야 할 8가지 항목
아젠다
1. 실행 요약(Executive Summary)
2. 기업·팀 소개(Company & Team Profile)
3. 시장 분석(Market Analysis)
4. 제안 솔루션 및 가치 제안(Proposed Solution & Value Proposition)
5. 실행 계획 및 일정(Project Plan & Timeline)
6. 재무 계획(Financial Plan & Projections)
7. 위험 요인 및 대응 방안(Risk Assessment & Mitigation)
8. 결론 및 요청 사항(Conclusion & Call to Action)
서론
사업제안서는 단순히 “우리 서비스가 좋습니다”를 넘어,
제안 대상(투자자·고객·파트너)이 ‘이걸 반드시 실행해야만 하는 이유’를 체계적으로 이해하도록 고안된 문서입니다.
• 왜이 사업이 지금 시급한지 (시장 기회, 경쟁 상황)
• 누가주도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지 (팀 역량)
• 어떻게실행할 것인지 (구체 계획)
• 얼마나효과가 있을지 (성과 예측)이 네 가지 질문에 구체적 근거와
실증 데이터를 더해 각 섹션을 풀어야 제안의 설득력이 극대화됩니다.
1. 실행 요약 (Executive Summary)
1.1 핵심 요소 상세
1. 문제 정의(Problem Statement)
• 구체 수치로 표현: “국내 중소 제조업체의 70%가 재고 과잉으로 연간 평균 2억 원 손실”
• 설문·인터뷰 인용: “설문 응답 기업 120곳 중 85곳이 재고 관리의 자동화를 최우선 과제로 꼽음”
솔루션 개요(Solution Overview)
• “AI 기반 수요 예측 엔진”의 작동 원리 요약: 수요 히스토리→계절·프로모션 변수 반영→자동 발주 권고
• 핵심 모듈 3가지: 데이터 수집, 예측 모델, UI 대시보드
주요 성과 보기(Key Metrics)
• 파일럿 도입 시 3개월 내 재고 회전율 30%↑, 비용 15%↓
• 고객 사례: ○○전자, △△유통에서 월 5천만 원 비용 절감
투자 요청 요약(Investment Ask)
• 총 5억 원(시드 라운드), 지분 희석 12%
• 사용처: R&D 40%, 마케팅 30%, 인프라·인력 확충 30%
1.2 실행 요약 작성 팁
• ‘1장의 슬라이드’처럼: 각 항목별 2–3개 핵심 키워드 사용
• 비주얼 요소적극 활용: 아이콘으로 구분, 숫자 강조 박스
• 문장 톤: “우리는 이 문제를 이렇게 해결할 능력이 있습니다”라는 자신감
2. 기업·팀 소개 (Company & Team Profile)
2.1 회사 연혁 및 성과
• 수상 이력: “2022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상”
• 지적 재산권: “AI 수요 예측 특허(출원 중) 2건”
2.2 핵심 역량 및 기술 스택
• AI·머신러닝: 시계열 예측 모델(TensorFlow 기반)
• 클라우드 네이티브: AWS(Amazon S3, Lambda, RDS)
• 보안·컴플라이언스: ISO27001 인증 준비 중
2.3 팀 구성 및 조직도
• 대표(CEO)– ○○○: 물류 IT 분야 10년 경력, 전 ○○물류 CTO
• CTO– □□□: 머신러닝 석사 출신, 前 네이버 AI 팀 리더
• PM– △△△: 대형 SI 프로젝트 5회 성공 경험
• 개발(4명)·QA(1명)·마케팅(2명)·CS(1명)
| 조직도를 시각화해 각 파트 간 협업 구조와 의사결정 라인을 명확히 제시
3. 시장 분석 (Market Analysis)
3.1 TAM·SAM·SOM 상세 계산
• TAM (Total Addressable Market):
• 국내 제조업체 50만 개 × 연간 재고 관리 솔루션 도입 단가 300만 원 = 1.5조 원
SAM (Serviceable Available Market):
• 온라인 유통을 병행하는 중견기업 5만 개 × 500만 원 = 2,500억 원
SOM (Serviceable Obtainable Market):
• 초기 3년 내 1% 점유 목표 → 250억 원
3.2 고객 세분화 & 페르소나
1. 제조 중소기업 경영자(나이 45세 남성)
• Pain Point: 재고 부족으로 생산 차질 / 과잉 재고로 비용 압박
• 의사결정 패턴: ROI명확성, 도입 비용 회수 기간 중시
2. 물류 담당 부서장(나이 38세 여성)
• Pain Point: 데이터 부족 / 엑셀 수작업의 비효율
• 선호: 간단한 UI, 셀프 온보딩 가이드
3.3 경쟁 구도 & 차별화
• SWOT 분석
• Strength: 빠른 온보딩, 합리적 가격
• Weakness: 브랜드 인지도 낮음
• Opportunity: 디지털 전환 가속
• Threat: 글로벌 SaaS 기업의 국내 진출
4. 제안 솔루션 및 가치 제안
4.1 제품·서비스 아키텍처
flowchart TD
A[데이터 수집] --> B[데이터 정제]
B --> C[예측 모델] --- D[수요 예측 결과]
D --> E[UI 대시보드]
E --> F[자동 발주 권고]
• 모듈별 역할
1. 데이터 수집: ERP·POS API 연동, CSV 업로드
2. 예측 모델: LSTM 기반 시계열 예측 + 계절성 보정
3. 대시보드: Drill-down 리포팅, 알림 설정
4.2 비즈니스 모델
• 구독형 라이선스
• Starter(월 50만): 기본 예측+Dashboard
• Professional(월 100만): 알림, 멀티사이트 지원
• Enterprise(커스텀): 고급 분석, 전담 CS
추가 과금 옵션:
• 데이터 커넥터 개발(1회)
• 모델 튜닝 컨설팅(월 200만)
4.3 가치 제안(Value Proposition)
• 정량 효과
재고 회전율 최대 40% 개선
평균 재고 보유 비용 20% 절감
• 정성 효과
의사결정 자동화로 업무 시간 60% 단축
직원 만족도 25%↑ (설문 결과)
4.4 고객 성공 사례
• ○○전자: 파일럿 후 6개월 만에 매출 10% 상승
• △△유통: 적재율 15%↑, 클레임 30%↓
5. 실행 계획 및 일정
5.1 상세 로드맵
5.2 의사소통 채널 및 거버넌스
• Daily Stand‑up(15분): Jira, Slack 연동
• 주간 보고(Weekly): 주요 지표·이슈 공유, 30분
• 월간 리뷰(Meeting): 고객 경영진 대상 프레젠테이션
6. 재무 계획
6.1 손익 예측 (3개년)
6.2 손익분기점(BEP) 분석
• 고정비: 1.5억 원/년
• 변동비율: 40%
• BEP 매출액= 고정비 ÷ (1 – 변동비율) = 1.5억 ÷ 0.6 = 2.5억 원
• BEP 달성 시점: 서비스 론칭 후 10개월 예상
6.3 자금 사용 계획
7. 위험 요인 및 대응 방안
7.1 리스크 식별
>>>논문, 논문 PPT, 보고서 코퀄리티로 편집해드립니다.>>>
7.2 대응 전략
• 백업 플랜: 외부 API(타사 예측 엔진) 연동으로 모델 성능 보완
• KPI 모니터링: 매주 예측 정확도·사용자 활동량 지표 대시보드
• 인력 리텐션: 스톡옵션·성과급 제도 강화
• 투자 대비 계획: 6개월 단위로 마일스톤 점검, 계획 B 준비
8. 결론 및 요청 사항
8.1 핵심 요약
“본 제안서가 제시한 AI 수요 예측 솔루션은 국내 중소 제조업체의 재고 과잉문제를
데이터 기반으로 자동 해결, 연간 최대 2조 원 규모시장 중 첫 3년 내 1%를 점유해 30억 원
매출달성과 40% 영업이익률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8.2 요청 사항
• Seed 투자: 5억 원(지분 12%)
• PoC(파일럿) 참여사 모집: 5개 기업
• 전략적 파트너: ERP·물류 플랫폼사와의 제휴 제안
8.3 다음 단계
1. 제안서 검토 회의(제안 후 1주일 이내)
2. 파일럿 계약 체결
3. 본격 개발 및 상용화 착수
위와 같이 각 항목별로 데이터·사례·표·차트를 곁들여 깊이 있게 풀어 쓰면,
제안 대상은 “이 사업이 왜, 어떻게, 누구에 의해, 얼마나 효과적으로”
실행될지 명확히 이해하고 즉각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합니다.
- 지식 큐레이션 모든 컨텐츠는 재능아지트가 기획, 생성한 컨텐츠로 무단 사용 및 침해 행위를 금지합니다. -
© 재능아지트 | All rights reserved.
㈜에스앤에스모바일
Copyrightsⓒ ㈜에스앤에스모바일. All rights reserved.
재능아지트는 통신판매중개자의 역할만 제공하며 재능상품 및 재능거래 대한 책임을 일체지지 않습니다.
재능아지트의 사전 서면 동의 없이 재능아지트 사이트의 일체의 정보, 컨텐츠 및 UI 등을 상업적 목적으로 전재, 전송, 스크래핑 등 무단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