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능아지트

초간단
구매방법

로그인

아이디 기억하기

재능아지트 초간단 구매방법


지식 큐레이션

HOME 피플 아지트 지식 큐레이션

*큐레이터 추천 재능

[문서·레포트] 대학 과제 작성 팁, 레포트 작성 주의사항, 방법 완전 실전 가이드 (참고문헌 & 출처 표기법)

2025-08-11 09:48:36

523

대학 과제 작성 팁, 레포트 작성 주의사항,

 

 + 방법 완전 실전 가이드 (참고문헌 & 출처 표기법)






1. 출처·참고문헌 작성법 (APA · MLA · Chicago 완전정리)


1) 스타일 개요와 선택 기준


• APA: 사회과학·심리·교육. 본문 괄호 인용 중심, 연도 강조 → 최신성/실증 연구에 적합.


• MLA: 인문학·문학·언어. 본문 괄호 인용에서 쪽수강조 → 텍스트 분석에 적합.


• Chicago: 역사·인문. 각주/미주기반의 풍부한 주석 운영


→ 출전 배경 설명과 사료 비교에 강점.


실무 팁과제 공지에 스타일이 명시되어 있지 않다면,


관련 전공의 대표 학술지 스타일을 따르자.


제출 전 지도교수/조교에게 1줄 메일로 확인


(“교수님, 본 보고서 인용은 APA 7th로 진행해도 괜찮을까요?”).



2) 본문 인용 규칙 요약(핵심만)


• APA: (홍길동, 2023, p. 15) / 3인 이상 첫 인용부터 “홍길동 외, 2023” 또는 영어권 “et al.”


• MLA: (Hong 15) / 저자 동일 자료 여러 개면 약식 제목 추가: (Hong, Writing15)


• Chicago(각주): 본문엔 위첨자¹, 하단 각주에 전체 서지.



3) 참고문헌 서식 “정답 예시”


[책(단행본)]


• APA


Hong, G.-D. (2023). Academic writing for undergraduates. Seoul: Scribe Press.


• MLA


Hong, Gil-dong. Academic Writing for Undergraduates. Scribe Press, 2023.


• Chicago(참고문헌)


Hong,Gil-dong. Academic Writing for Undergraduates. Seoul:Scribe Press,2023.



[학술논문(저널)]


• APA


Kim, J., & Park, S. (2022). Social media and study habits. Journal of Learning, 12(3), 155–178.


https://doi.org/xx.xxxx/xxxx



• MLA


Kim, Jin, and Sangjun Park. "Social Media and Study Habits." Journal of Learning, vol. 12, no. 3, 2022, pp. 155–178.



• Chicago(각주 예)


1. Jin Kim and Sangjun Park, "Social Media and Study Habits," Journal of Learning 12, no. 3 (2022): 160–162.



[웹페이지]


• APA


Ministry of Education. (2022). Policy update on assessment. Retrieved May 5, 2023, from https://...



• MLA


Ministry of Education."Policy Update on Assessment."2022,Accessed 5 May 2023.



• Chicago


Ministry of Education. “Policy Update on Assessment.” 2022. Accessed May 5, 2023.



[영상/유튜브]


• APA


KBS News. (2024, May 20). Title of the video [Video]. YouTube.



• Chicago


KBS News. “Title of the Video.” YouTube video, May 20, 2024.



[인터뷰(개인 통신)]


• APA : 본문만 표시, 참고문헌 생략 → (H. Lee, personal communication, March 3, 2025)



자주 틀리는 포인트


• 저자 20명까지 APA는 모두 기재(마지막 앞에 &).


• 제목 대소문자 규칙(APA: 문장형, MLA/Chicago: 제목형).


• DOI 있으면 URL보다 DOI 우선.




2. 각주·미주 제대로 쓰는 법


1) 각주를 쓰는 상황


• 개념 배경 설명, 원문 언급, 사료 비교, 번역자 주석, 용어 정의.


• 본문 흐름을 깨는 설명은 과감히 각주로 “빼서” 가독성 유지.



2) Chicago 각주 체계 예



1. Hong, Academic Writing, 53.


2. Kim and Park, "Social Media and Study Habits," 160–162.


3. Ibid., 161.  ← 직전 각주와 동일 출처(Chicago 17판에서는 회피 권장 추세)




3) 각주 vs 미주 선택


• 과제 분량 짧음/페이지별 확인성 필요 → 각주


• 길고 챕터 많은 보고서 → 미주


포맷 팁: 글꼴 9~10pt, 단일행 간격, 본문과 줄 간격 약간 좁게.




3. 비문헌 자료(웹·영상·인터뷰·데이터셋) 표기법


• 정부 보고서/통계: 기관 저자로 처리(연도-제목-기관).


• 영상/팟캐스트: 제작자·발행연도·회차/에피소드·플랫폼.


• 데이터셋: 제작기관/저자, 버전, 발행연도, 접근경로(고유 식별자 있으면 DOI).


• 인터뷰: 개인통신은 본문만(APA) / 공개 인터뷰(신문·방송)는 문헌으로 처리.



품질 체크: 누가 만들었나(전문성), 언제 업데이트됐나(연도),


검증받았나(피어리뷰/공식수치), 왜 만들었나(의도/이해관계).





4. 서론·본론·결론 구조: “읽히는 글” 만드는 설계법


1) 서론(CARS 모델 활용)


• 틈새 만들기: “무엇이 아직 밝혀지지 않았나?”


• 중요성 제시: “왜 지금 이 주제가 중요한가?”


• 연구 질문/목표 명시: “본 보고서는 △△을 분석하고 ○○를 비교한다.”



서론 예문(템플릿)


본 보고서는 SNS 사용이 대학생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다.


선행연구는 사용시간과 성과 간 음(-)의 상관을 반복적으로 제시했으나,


콘텐츠 유형과 학습전략의 매개 역할은 상대적으로 덜 논의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1) 사용시간, (2) 콘텐츠 유형, (3) 학습전략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여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2) 본론(이론 → 자료 → 분석 → 논의)


• 이론틀 선언: 어떤 관점으로 해석할지(예: 인지부하이론, 계획행동이론).


• 자료와 방법: 표본, 수집 방법, 변수 정의, 통계/코딩 절차.


• 분석 결과: 표·그림으로 요점만, 해석은 간결하게.


• 논의: 예상/비예상 결과, 기존 연구와의 연결.



3) 결론(요약 → 함의 → 한계 → 후속연구)


• 한 문단으로 요약, 실천/정책 제언 2~3개, 한계 명시, 향후 제안.






5. 문제 제기 → 분석 → 결론: 논리 흐름 만들기


1) 연구 질문(RQ) 만들기


• 넓은 주제 → 좁히기(대상·시간·맥락·변수).


• 예: “온라인 수업 만족도는 무엇이 결정하나?”


→ “대학 2학년의 줌 강의에서 상호작용 빈도와 만족도의 관계”



2) 주장(Thesis)과 논거(Evidence) 연결


• 주장 1개당 근거 2개 + 반증 1개를 원칙으로 구조화.


• 논거는 “사실/데이터 + 해석”으로 완결.





6. 분량 배분 가이드(보고서 10~20p 기준)


• 표지/초록 1p, 서론 1.52p, 문헌검토 34p, 방법 2p, 결과 23p, 논의 2p, 결론 1p, 참고문헌 12p, 부록 선택.


• 교수마다 다르니 과제 공지의 글자 수/문단 수 기준 체크.




>>재능아지트 과제, 레포트 전문가 도움받기>>






7. 표절 방지와 인용 규칙 디테일


1) 직·간접 인용 올바른 사례


• 직접 인용(짧음):“학습 몰입은 과제 자율성과 정(+)의 관계가 있다”(Kim, 2023, p. 45).


• 직접 인용(길음): 4줄 이상은 블록 인용, 작은 폰트/들여쓰기, 따옴표 삭제.


• 간접 인용: 원문 의미를 보존하되 구조와 어휘를 충분히 바꾼다.



2) 패치라이팅(나쁜 패러프레이즈) 피하기


• 단어 몇 개만 동의어로 바꾸는 건 표절 위험.


• 안전한 재서술 4단계① 원문 덮기 → ② 핵심을 메모로 요약 →


③ 자신의 틀로 재구성 → ④ 원문 다시 열고 용어/수치만 정확히 대조.



3) 인용문 샌드위치(Quote Sandwich)


• 도입(누가/왜)인용해석/연결(그래서 이게 내 주장과 어떻게 연결되는가)





8. 재서술(Paraphrasing) 실전 워크숍


원문: “메신저 알림은 과제 수행 중 작업 전환을 유발하여 성과를 저하시킬 수 있다.


”나쁜 예: “메신저 알림은 과제 동안 전환을 유발해 성과를 떨어뜨린다.


”(거의 동일)좋은 예:“과제를 진행할 때 수신 알림으로 주의가 분산되면, 집중 시간이


끊기고 재몰입 비용이 발생한다. 그 결과 결과물의 질이 낮아질 수 있다(Kim, 2023).”


체크리스트


• 문장 구조 달라졌나?


• 핵심 의미 유지했나?


• 출처 달았나?




9. 효율적인 자료 조사법(데이터베이스 · 검색 전략 · 신뢰도)


1) 핵심 DB 빠르게 쓰는 법


• RISS/KISS/DBpia: 한국어 논문/학술지/학위논문.


• Google Scholar: 인용수 정렬로 ‘핵심 문헌’ 찾기(최신 리뷰논문 우선).


• PubMed/ERIC/IEEE Xplore: 의생명/교육/공학 전공별.



2) 검색 연산자(바로 써먹는 것)


• 따옴표 “ ”: 완전 일치.


• AND/OR/NOT: 논리 결합.


• site:, filetype:pdf, intitle:, –단어(제외).


• 예) "self-regulated learning" AND (college OR undergraduate) filetype:pdf 2021..2025



3) 신뢰도 점검


• 피어리뷰 여부, 저자 소속, 이해상충(후원) 표기, 표본/방법 투명성.





10. 목차로 논리 잡기(아웃라인 테크닉)


1) 피라미드 아웃라인(Top-Down)


주제 → 장(섹션) → 절 → 핵심 문장(한 줄) → 증거 포인트



2) 문장 아웃라인(Sentence Outline)


각 소제목 아래 **“주장 한 문장”**을 먼저 쓰고, 그 아래 증거열 3개 붙이기.예)


• 2.2 사회적 상호작용은 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


(1) 실시간 채팅 빈도 β=0.27, p<.05


(2) 그룹 과제 만족도와의 상관 r=.41


(3) 질적 인터뷰: “피드백 받는 느낌”




11. 연결 문장(Transition)으로 비약 막기


• 원인→결과: 그러므로/따라서/이 때문에/결과적으로


• 대조: 그러나/반면에/그럼에도/한편


• 첨가: 또한/나아가/게다가/더불어


• 전환: 이제/다음으로/반대로/요약하면



한편, 위 결과는 표본의 전공 편중이라는 한계를 지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호작용의 질이 만족도를 설명한다는 점은 일관되게 확인되었다.





12. 표와 그래프: 설계·라벨·캡션·윤리


1) 차트 선택법


• 비교(범주) → 막대/세로막대


• 구성비 → 원형(항상 적합하진 않음), 누적 막대


• 추세/시간 → 꺾은선


• 상관/분포 → 산점도/히스토그램



2) Tufte 원칙 응용


• ‘차트장식’ 최소화, 잉크 대비 극대화.


• 색상은 기능적(범례/구분)으로만, 맹인 색각 고려(명암·패턴 병행).


• 축/단위/샘플 수 표기는 필수.



3) 캡션 양식


• 표: “표 2. 변수의 기초통계(평균, 표준편차, N=312)”


• 그림: “그림 3. 콘텐츠 유형별 만족도 추세(2022–2025)”






13. 문장력 강화 훈련(한국어 글쓰기의 디테일)


1) 군더더기 삭제 리스트


• “~라고 생각한다” → “~다”


• “사실은/솔직히/어느 정도” → 삭제


• “~을/를 통해서” → “~로/로써”



2) 호응/지시어 정밀도


• 주어 생략 금물(대상 불분명).


• ‘이/그/저’는 가리키는 선행어가 바로 앞 문장에 있어야 한다.



3) 피해야 할 습관어


• “등/등등/같은/아무래도/어쨌든” 남발 → 구체화.


• “문제점이 있다” → 무엇이, 누구에게, 어떤 맥락에서?



4) 좋은 주제문 예


• 나쁜 예: “온라인 수업은 여러 장점이 있다.”


• 좋은 예: “온라인 수업의 가장 큰 장점은 비동기 자료 활용을


통해 복습 가능 시간을 확장한다는 점이다.”





14. 교정·교열 워크플로(4단계)


1. 개념 편집: 구조/논리 재배치(목차 재검토).


2. 문장 편집: 중복·장문 분할·어휘 정밀화.


3. 기계적 교열: 맞춤법·띄어쓰기·숫자/단위·각주 번호.


4. 최종 교정: 소리 내어 읽기, 역순(뒤에서 앞으로) 읽기, 출력물로 보기.





>>재능아지트 교정, 교열 전문가 상담받기>>





체크리스트(샘플)


• 서론에 연구 목적·질문이 명확한가


• 표/그림에 출처·단위가 있는가


• 인용 표기 형식이 일관적인가


• 결론에 한계·후속 제안이 있는가




15. 데이터 시각화 원칙(한 장 요약)


• ‘무엇을 보게 할 것인가?’를 먼저 문장으로 쓰고 차트 설계 시작.


• 범례보다 직접 라벨(데이터 레이블)을 선호.


• 0이 의미 있는 축이라면 반드시 0에서 시작.






16. 표·그림 번호/캡션/출처 양식(템플릿)



표 1. 표본 특성(인구통계)





주: M=평균, SD=표준편차.





그림 2. 만족도 예측 모형(회귀계수)


출처: 연구자 작성.






17. 레포트 → PPT 변환(10-20-30 룰 응용)


• 슬라이드 10장 내외, 20분 이내, 글꼴 30pt 이상(가카와사키 룰).


• 슬라이드 1장 = 메시지 1개.


• 텍스트:그래픽 = 4:6목표.


• 발표 원고는 “말하듯” 쓰되, 슬라이드에는 키워드만.




슬라이드 템플릿


1. 문제 제기(현황·격차)


2. 연구 질문


3. 방법(표본/절차)


4. 핵심 결과 1


5. 핵심 결과 2


6. 논의(왜?)


7. 시사점/제언


8. 한계/후속 연구


9. 결론


10. 질의응답





18. 발표용 vs 보고서용 문장 차이


• 보고서: “본 연구는 ~을 규명하였다.”


• 발표: “저희는 두 가지를 보여드리겠습니다. 첫째, … 둘째, …”





19. AI 도구 활용 가이드(윤리 + 실전)


1) 안전한 활용 범위


• 주제 브레인스토밍, 아웃라인 점검, 문장 간결화 제안, 문법 교정.


• 금지: 출처 없는 사실 단정, 허위 인용 생성, 데이터 조작.



2) 워크플로 예시


• “다음 주제의 서론용 훅 아이디어 5가지” → 채택 1개 손수 수정


• 초안 후 “문단 논리 흐름 점검, 중복 줄이기” 요청 → 내 문장으로 재편집


• 참고문헌은 Zotero/EndNote에서 직접생성·검증






20. Zotero·EndNote 실전 세팅


• Zotero: 브라우저 커넥터 설치 → 웹에서 클릭 한 번으로 서지 저장


→ Word 플러그인으로 인용 삽입(Ctrl+Alt+A)→ 스타일 바꾸면 참고문헌 자동 재생성.


• EndNote: 대용량 서지/개별 그룹 관리, 저널별 스타일(Thousands).


꿀팁: “Cite While You Write”로 처음부터인용삽입 → 나중에 한꺼번에 정리하려다 망하는 상황 예방.






21. 영문 레포트(IMRaD)와 문체


• Introduction–Methods–Results–Discussion


• Hedging(완곡): may, suggest, appear to, likely → 과장 금지.


• 능동/수동 선택: 결과는 능동으로 명확히(“We found …”), 방법은 수동도 허용.




• Introduction: “This study examines … because …”


• Results: “Figure 2 shows …; Table 3 indicates …”


• Discussion: “A plausible explanation is that …”






22. 번역·의역과 저작권


• 번역 인용도 2차 출처표기 필요(가능하면 원문 입수).


• 그림·표 차용은 저작권/라이선스 확인(대체 그래픽 직접 제작 권장).


• 과제 공유 사이트의 무단 전재 그림 사용 금지.




>>재능아지트 논문 컨설팅 도움받기>>







23. 실험·조사 보고서 표준


1) 목적


• 가설/연구문제/변수. “H1: 상호작용 빈도는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2) 방법


• 표본(크기, 모집단, 표집), 측정도구(신뢰도·타당도), 절차(재현가능).


3) 결과


• 기술통계 → 추론통계(검정·효과크기) → 표/그림.


4) 고찰


• 해석(왜 이런가) → 기존 연구와 연결 → 한계(표본·측정·외적타당도).





24. 데이터 관리·윤리·IRB(설문/인터뷰 시)


• 개인정보 최소 수집, 익명화, 보관기간 명시, 동의서 필수.


• 민감정보(건강·정치 등)는 IRB/지도교수 지침 준수.





25. 평가 루브릭(교수 시선 그대로)


• 내용(40): 연구질문 적절성, 근거 충실, 분석의 깊이.


• 구성(25): 논리 흐름, 목차/전환문장, 문단 구조.


• 자료(20): 출처 다양성, 최신성, 신뢰도, 인용 정확성.


• 형식(15): 스타일 일관, 표/그림/캡션, 맞춤법·띄어쓰기.





26. 제출 전 최종 체크리스트(1쪽에 끝내기)


• 표지: 과목/학번/이름/제목/제출일


• 초록(요약 120–200단어)


• 서론에 연구 목적·질문


• 본론 구조 명확(이론→방법→결과→논의)


• 표/그림 번호·제목·단위·출처


• 인용/참고문헌 스타일 일관


• 결론: 요약/시사점/한계/후속연구


• 부록(설문지/코딩북/추가표) 필요 시 첨부


• 표절 자가점검(직·간접 인용 구분, 패치라이팅 방지)


• PDF로 최종 변환 시 표·그림 깨짐/폰트 포함 확인





27. 과제 일정 관리(7일 플랜 예시)


• D-7 주제 확정·RQ 작성·아웃라인 초안


• D-6 핵심문헌 10편 스캔(초록→결론→방법 순으로 빠르게)


• D-5 방법 설계·자료 수집(설문/코딩)


• D-4 결과 정리·표/그림 제작


• D-3 초안 1차(서론/본론/결론 거칠게라도 완성)


• D-2 편집(논리·문장), 인용/참고문헌 정리


• D-1 최종 교정·PDF 생성·제출 시스템 업로드 테스트





28. 문서 포맷(한글·워드 공통)


• 폰트: 본문 10.511pt, 줄간 160180%, 여백 상하 25mm 좌우 20–25mm.


• 쪽번호 하단 가운데, 머리글에 과목/제목 옵션.


• 제목 체계: 1, 1.1, 1.1.1(3단계 이내).





29. 표준 템플릿(복붙용)


제목 페이지




보고서 제목


과목명 / 담당교수


학번 / 이름


소속 / 제출일




초록(국/영)


• 연구배경(1–2문장)


• 방법(표본/절차 1문장)


• 주요결과(수치 포함 2문장)


• 함의(1문장)



서론-본론-결론 템플릿




1. 서론


  1.1 연구 배경과 필요성


  1.2 연구 목적/질문


  1.3 범위와 구성


2. 본론


  2.1 이론적 배경


  2.2 자료와 방법


  2.3 결과


  2.4 논의


3. 결론


  3.1 요약


  3.2 시사점


  3.3 한계와 제언


참고문헌


부록




30. 문장 라이브러리(바로 갖다 쓰는 표현들)


서론


• “그러나 기존 연구는 △△을 간과했다.”


• “본 보고서는 이러한 공백을 메우기 위해 ○○을 분석한다.”


방법


• “표본은 △△대학 학부생 200명으로 구성되었다.”


• “신뢰도(Cronbach’s α)는 .87로 양호했다.”


결과


• “표 2에 제시된 바와 같이 …”


• “가설 H1은 지지되었다(β=.31, p<.01).”


논의/결론


• “이는 △△이 만족도에 미치는 실질적 영향을 시사한다.”


• “표본의 지역 편중은 일반화 가능성을 제한한다.”






31. 부록 예시(설문 문항·코딩 규칙 미니 샘플)


설문(발췌)


• SNS 일 평균 사용시간: □ 0–30m □ 30–60m □ 1–2h □ 2h+


• 온라인 강의 만족도(1–5): 1 2 3 4 5


• 상호작용 빈도(1–5): 1 2 3 4 5


코딩 규칙


• 결측치: 99


• 역문항: Q5, Q9 역코딩






32. 학과/교수 유형별 “가산점” 요소


• 교육/심리계열: 신뢰도·타당도 명시


• 경영/경제: 효과크기·강건성 검증


• 인문/역사: 원전/사료 출처의 폭


• 공학/자연: 재현성(코드/설정값) 공개






33. 빈출 감점 포인트 톱10


1. 인용·참고문헌 스타일 혼용


2. 표/그림 단위·축 미표기


3. 결론에서 새 정보 도입


4. 연구 질문 없는 서론


5. 중복 도배, 장문(50단어↑)


6. ‘등/같은’ 남발


7. 표절 도구 적발(패치라이팅 포함)


8. 통계 용어 오용(상관=인과로 착각)


9. AI 생성 인용(가짜 DOI)


10. 파일명/제출 형식 위반(교수마다 규칙 다름)





34. 케이스 스터디(짧은 샘플)


주제: “단기 알림 차단이 과제 성과에 미치는 영향”


• RQ: 알림 차단(집중 모드) 사용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과제 점수 높을까?


• 방법: 무작위 배정 n=60, 45분 글쓰기 과제, 루브릭 채점


• 결과: 차단집단 M=84.2, 통제 M=78.9, t(58)=2.14, p=.036, d=.55


• 논의: 중간 효과크기. 재택/모바일 과제에서 실천적 가치. 장기효과는 미확인 → 후속 연구 제안.






35. 장르별 변형(문헌리뷰/정책제안/비교분석)


• 문헌리뷰: 연도/주제/방법으로 묶어 합성(synthesis), 단순 요약 금지.


• 정책제안: 현황→문제→대안 2~3개→비용·효과→실행 로드맵.


• 비교분석: 공통 준거표(변수) 세팅 후 항목별 비교.






36. 초록(Abstract) 쓰는 법(120–200단어)


• 배경 1–2문장 → 방법 1–2 → 결과 2 → 함의 1.


• 숫자/수치 1개 이상 포함.


• 키워드 4–6개.





37. 감사의 글·이해상충·연구지원 표기


• “본 연구는 2025년도 ○○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다.”


• “저자는 이해상충이 없음을 밝힌다.”






38. 국문·영문 병기 요령(과제 요구 시)


• 제목·초록·키워드 영문 병기 시 고유명사/기관명 공식 표기 사용.


• 표/그림 캡션도 일관.






39. 제출/발표 매너(작지만 큰 차이)


• 파일명: 과목_학번_이름_제목(날짜).pdf


• 이메일 제목/본문 간결(“○○과제 제출(홍길동/2025-08-11)”)


• 발표 Q&A: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 본 연구 설계 범위를 넘지만, X 데이터를 추가하면 검증 가능해 보입니다.”






40. 끝맺음: ‘완성도’는 디테일에서 결정된다


좋은 보고서는 정확한 출처 표기, 깨끗한 논리 흐름, 읽히는 문장,


보기 좋은 도표라는 네 다리로 선다. 오늘부터는 ‘형식은 나중에’가 아니라


처음부터 인용/목차/표준 포맷을 켠 상태로 쓰자.


마지막 날 밤에 “형식 정리”하다 무너지는 사고를


막는 가장 확실한 습관이다.끝까지 읽었다면,


다음 과제는 이 가이드를 체크리스트처럼따라가며 작성해 보자. 결과물이 달라진다.





- 지식 큐레이션 모든 컨텐츠는 재능아지트가 기획, 생성한 컨텐츠로 무단 사용 및 침해 행위를 금지합니다. - 


© 재능아지트 | All rights reserved.






지식
큐레이션
App
다운로드
오늘 본
상품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