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피플 아지트 지식 큐레이션
2025-10-02 12:32:40
71
[Part 2] 비즈니스 영어 화상 회의 표현 50선 - 온라인 줌(Zoom) 미팅 영어 표현, 멘트, 방법
1장. 화상회의 기본 인사와 시작 멘트
1. 회의 시작 전 가벼운 Small Talk (날씨, 주말, 안부)
• 예: “How was your weekend?” / “Can you hear me clearly?”
2. 회의 주최자가 사용하는 시작 멘트
• 예: “Let’s get started.” / “Thank you for joining today.”
3. 참석자 소개 및 역할 설명
• 예: “This is Sarah from the marketing team.”
2장. 연결 상태·기술 문제 관련 표현
1. 오디오/비디오 상태 확인하기
• 예: “You’re on mute.” / “Can you turn on your camera?”
2. 연결 문제에 대한 사과와 조정
• 예: “Sorry, I think you’re breaking up.” / “Let me reconnect.”
3. 화면 공유 요청·허용
• 예: “Can you see my screen now?”
3장. 회의 진행 관리 표현
1. 아젠다 제시하기
• 예: “Today we’ll focus on three main points.”
2. 발언 순서 제안
• 예: “Let’s hear from John first.”
3. 시간 관리 멘트
• 예: “We have 10 minutes left.”
4장. 의견 제시·아이디어 공유
1. 동의·지지 표현
• 예: “I completely agree with that point.”
2. 부분 동의·조건부 동의
• 예: “That makes sense, but we should also consider…”
3. 의견 제안하기
• 예: “May I suggest another approach?”
5장. 질문·답변 표현
1. 명확화 요청
• 예: “Could you clarify what you mean by…?”
2. 반복 요청
• 예: “Sorry, can you say that again?”
3. 즉석 질문
• 예: “I have a quick question.”
6장. 논의 확장·중재 표현
1. 다른 의견 이끌어내기
• 예: “Does anyone have a different perspective?”
2. 발언 기회 주기
• 예: “Emma, what’s your take on this?”
3. 논의 정리·전환
• 예: “Let’s move on to the next point.”
7장. 회의 중 협의·결정 관련 표현
1. 제안 승인·거절
• 예: “I’m okay with that.” / “I’m afraid that won’t work.”
2. 투표·합의 요청
• 예: “Shall we take a quick vote?”
3. 결론 도출 멘트
• 예: “So we’ve decided to…”
8장. 실무 관련 협업 표현
1. 자료 요청·공유
• 예: “Can you send me the file after the meeting?”
2. 일정 조율
• 예: “Let’s schedule a follow-up next week.”
3. 책임 분담 명확히 하기
• 예: “John will take charge of the first draft.”
9장. 회의 마무리 표현
1. 핵심 정리
• 예: “To summarize today’s discussion…”
2. 후속 작업 안내
• 예: “I’ll share the meeting minutes shortly.”
3. 감사 인사 및 종료
• 예: “Thank you everyone for your time.”
10장. 사례별 미니 대화 (실전 응용)
1. 프로젝트 킥오프 회의 예시 대화
2. 문제 해결을 위한 브레인스토밍 예시 대화
3. 클라이언트 보고용 회의 예시 대화
4. 내부 팀 주간 회의 예시 대화
5. 긴급 이슈 대응 회의 예시 대화
11장. 화상회의 문화·매너 표현
1. 끼어들 때 매너 있는 표현
• 예: “Sorry to interrupt, but…”
2. 동료 칭찬·격려
• 예: “That’s a great idea, thanks for sharing.”
3. 예의 있게 의견 반대하기
• 예: “I see your point, but I have a different view.”
12장. 취준생·신입 직장인을 위한 표현
1. 자기소개 멘트
• 예: “I recently joined the company as a junior analyst.”
2. 적극적 참여 표현
• 예: “I’d like to add a quick comment.”
3. 배움·겸손 강조
• 예: “I may need some guidance on this project.”
13장. 글로벌 팀 협업에서 자주 쓰는 표현
1. 시차 언급
• 예: “It’s quite late here in Seoul.”
2. 언어 배려
• 예: “Let me rephrase that for clarity.”
3. 국제 프로젝트 진행 멘트
• 예: “We need to align across all regions.”
14장. 특수 상황별 표현
1. 발표자 교체
• 예: “Now I’ll hand it over to Sarah.”
2. 기술 데모 진행
• 예: “Let me walk you through the steps.”
3. 돌발 상황 대처
• 예: “Sorry for the background noise.”
15장. 실전에서 자주 틀리는 표현 TOP 6
1. “I will explain you” → “I will explain to you”
2. “Let’s discuss about” → “Let’s discuss”
3. “Can you repeat again?” → “Can you repeat?”
4. “According to me” → “In my opinion”
5. “I’m agree” → “I agree”
6. “We are five persons” → “There are five of us”
■ [Part 1] 줌(Zoom), 팀즈, 미트 화상회의에서 자주 쓰는 영어 표현 50선 바로가기
8장. 실무 관련 협업 표현
실무 협업은 회의의 핵심 목표 중 하나입니다.
프로젝트를 어떻게 진행할지, 누가 무엇을 맡을지, 언제까지 완료할지를 정리해야만 회의가 끝난 뒤
실제로 실행에 옮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과정에서 사용하는 표현은 구체적이고 명확해야 합니다.
1. 자료 요청·공유
회의 후속 작업에서 가장 자주 오가는 표현은 바로 자료와 파일 공유입니다.
표현 예시
• “Can you send me the file after the meeting?” (회의 후에 파일을 보내주시겠어요?)
• “I’ll share the document in the chat.” (문서를 채팅창에 공유하겠습니다.)
• “Please upload the file to the shared folder.” (공용 폴더에 파일을 올려주세요.)
• “Do you have the latest version of the report?” (보고서 최신 버전 가지고 계신가요?)
2. 일정 조율
팀 간 협업에서 중요한 것은 후속 미팅이나 마감 기한을 정하는 것입니다.
표현 예시
• “Let’s schedule a follow-up meeting next week.”
(다음 주에 후속 회의를 잡읍시다.)
• “Can everyone make it on Friday at 3 PM?”
(모두 금요일 오후 3시에 가능하신가요?)
• “We need to finalize the timeline today.”
(오늘 일정은 반드시 확정해야 합니다.)
• “Could we push the deadline back by two days?”
(마감일을 이틀 연기할 수 있을까요?)
3. 책임 분담 명확히 하기
프로젝트가 실행되려면 누가 어떤 일을 맡는지가 명확해야 합니다.
표현 예시
• “John will take charge of the first draft.”
(존이 초안을 맡을 것입니다.)
• “Emma will handle the client communication.”
(엠마가 고객 커뮤니케이션을 담당하겠습니다.)
• “I’ll be responsible for compiling the final report.”
(제가 최종 보고서 취합을 맡겠습니다.)
• “Let’s assign tasks to each department.”
(각 부서에 업무를 분담합시다.)
사례 미니 대화 예시
대화 예시 1 – 자료 공유
• A: “Do you have the latest version of the budget report?”
(예산 보고서 최신 버전 가지고 계신가요?)
• B: “Yes, I’ll share the document in the chat.”
(네, 채팅창에 문서를 공유하겠습니다.)
• A: “Perfect, thank you.”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대화 예시 2 – 일정 조율
• Host: “Let’s schedule a follow-up meeting next week. How about Tuesday at 10 AM?”
(다음 주에 후속 회의를 잡읍시다. 화요일 오전 10시는 어떨까요?)
• Participant: “I’m not available then. Could we do Wednesday instead?”
(그때는 제가 불가능합니다. 대신 수요일로 할 수 있을까요?)
• Host: “Sure, Wednesday works for me. Does everyone else agree?”
(좋습니다, 저는 수요일 괜찮습니다. 다른 분들도 괜찮으신가요?)
• Participants: “Yes, Wednesday is fine.”
(네, 수요일 괜찮습니다.)
대화 예시 3 – 책임 분담
• Manager: “So, John will take charge of the first draft, Emma will handle the client communication,
and I’ll compile the final report. Is everyone okay with that?”
(그래서 존은 초안을 맡고, 엠마는 고객 커뮤니케이션을 담당하며,
저는 최종 보고서를 취합하겠습니다. 모두 괜찮으신가요?)
• John: “Yes, that works for me.”
(네, 괜찮습니다.)
• Emma: “Fine by me.”(저도 좋습니다.)
9장. 회의 마무리 표현
줌/팀즈 회의에서 마무리 단계는 매우 중요합니다.
회의가 끝난 직후 참가자들은 곧바로 다른 업무나 회의로 이동하기 때문에, 결정 사항을 명확히 하고,
후속 조치(Action Items)를 전달하며,
정중히 인사를 나누는 것이 회의의 완성도를 결정합니다.
1. 핵심 정리 (Summarizing Key Points)
참가자 모두가 같은 결론을 공유하도록 핵심 사항을 정리하는 표현입니다.
표현 예시
• “To summarize today’s discussion, we agreed to extend the deadline by one week.”
(오늘 논의를 요약하면, 마감일을 1주일 연장하기로 합의했습니다.)
• “The main takeaway is that we’ll focus on the Asian market first.”
(핵심 결론은 아시아 시장에 먼저 집중하기로 한 것입니다.)
• “Let me quickly recap the key points before we wrap up.”
(마무리하기 전에 주요 사항을 간단히 정리하겠습니다.)
• “Just to make sure we’re aligned, here are the action items…”
(모두가 같은 이해를 갖도록 후속 조치를 정리하겠습니다…)
2. 후속 작업 안내 (Follow-up Actions)
회의 후 이어질 구체적인 행동 지침을 안내하는 표현입니다.
표현 예시
• “I’ll share the meeting minutes by tomorrow.”
(내일까지 회의록을 공유하겠습니다.)
• “Please send your updates by Friday.”
(금요일까지 업데이트 내용을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 “We’ll have a follow-up meeting next Wednesday.”
(다음 주 수요일에 후속 회의를 진행하겠습니다.)
• “Each team is expected to complete their tasks before the next check-in.”
(각 팀은 다음 점검 회의 전까지 업무를 완료해 주셔야 합니다.)
3. 감사 인사 및 종료 (Closing Thanks & Farewell)
참석자들의 시간을 존중하며 마무리하는 멘트입니다.
표현 예시
• “Thank you everyone for your time today.”
(오늘 시간 내주셔서 감사합니다.)
• “I appreciate everyone’s contributions.”
(모두의 기여에 감사드립니다.)
• “Great work today, team. Let’s keep up the momentum.”
(오늘 수고 많으셨습니다. 이 흐름을 계속 이어갑시다.)
• “That’s all for today. Have a great day!”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사례 미니 대화 예시
대화 예시 1 – 핵심 정리
• Host: “Before we end, let me recap: we’ll extend the deadline by one week, John will draft the proposal,
and Emma will contact the client.”
(마치기 전에 정리하겠습니다. 마감일은 1주일 연장하고,
존이 제안서를 작성하며, 엠마가 고객과 연락하기로 했습니다.)
• Participants: “Agreed.” (동의합니다.)
대화 예시 2 – 후속 작업 안내
• Host: “I’ll share the meeting minutes by tomorrow.
Please send your updates by Friday.”
(내일까지 회의록을 공유하겠습니다. 금요일까지 업데이트 내용을 보내주세요.)
• Participant: “Got it.” (알겠습니다.)
• Host: “We’ll meet again next Wednesday to review the progress.”
(진행 상황을 검토하기 위해 다음 주 수요일에 다시 모이겠습니다.)
대화 예시 3 – 감사 인사
• Host: “That’s all for today. Thank you everyone for your input.”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모두 의견 내주셔서 감사합니다.)
• Participant: “Thank you. Have a good day!”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Host: “Take care, see you next week.”
(건강하세요, 다음 주에 뵙겠습니다.)
■ 이력서/자소서/논문/초록/에세이/생기부 영어 번역해드립니다
10장. 사례별 미니 대화 (실전 응용)
이 장에서는 화상회의에서 자주 마주치는
다섯 가지 상황을 뽑아 실제 대화 형식으로 정리합니다.
각 대화에는 앞서 학습한 표현들을 녹여 넣어,
맥락 속에서 자연스럽게 활용하는 연습이 되도록 구성했습니다.
1. 프로젝트 킥오프 회의 (Project Kick-off Meeting)
상황: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하며,
팀원들이 모여 목표와 역할을 공유하는 회의입니다.
대화 예시
• Host: “Good morning, everyone. Can you all hear me clearly?”
(좋은 아침입니다, 모두 제 목소리 잘 들리시나요?)
• Team A: “Yes, loud and clear.”(네, 잘 들립니다.)
• Host: “Great. Today’s agenda is to align on the project goals and assign responsibilities.”
(좋습니다. 오늘의 아젠다는 프로젝트 목표를 맞추고 책임을 분담하는 것입니다.)
• Host: “John will take charge of the initial research, Emma will handle client communication,
and I’ll oversee the overall timeline.”
(존은 초기 리서치를 맡고, 엠마는 고객 커뮤니케이션을 담당하며, 저는 전체 일정을 관리하겠습니다.)
• Emma: “Sounds good. Just to clarify, will I be the main point of contact for the client?”
(좋습니다. 확인차 여쭤보는데, 제가 고객과의 주요 연락 담당자인가요?)
• Host: “Exactly. You’ll be the main contact.”
(맞습니다. 엠마가 주요 연락 담당자입니다.)
2. 문제 해결 브레인스토밍 (Problem-Solving Brainstorm)
상황: 예상치 못한 문제(예: 일정 지연)가 발생해 해결 방안을 논의합니다.
대화 예시
• Host: “We have an issue with the timeline. The development team reported a two-week delay.”
(일정에 문제가 생겼습니다. 개발팀에서 2주 지연을 보고했습니다.)
• Team B: “That makes sense, but we should also consider how this affects marketing.”
(이해는 되지만, 이것이 마케팅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도 고려해야 합니다.)
• Team C: “I have a quick question. Will the launch date still be in May?”
(짧게 질문 하나 드릴게요. 출시일은 여전히 5월인가요?)
• Host: “Not exactly. We may need to push it back by two weeks.”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2주 연기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 Team A: “May I suggest another approach? We could do a soft launch first.”
(다른 접근 방법을 제안드려도 될까요? 먼저 소프트 런칭을 할 수 있습니다.)
• Host: “That’s an option worth considering.” (그건 고려할 만한 방법이네요.)
3. 클라이언트 보고 회의 (Client Update Meeting)
상황: 외부 고객에게 진행 상황을 보고하는 회의입니다.
대화 예시
• Host: “Thank you for joining today. We’d like to update you on the progress.”
(오늘 참석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진행 상황을 공유드리겠습니다.)
• Client: “Sure, please go ahead.” (네, 진행해 주세요.)
• Host: “So far, we’ve completed the research phase and started development last week.”
(지금까지 리서치 단계를 완료했고 지난주에 개발을 시작했습니다.)
• Client: “Could you clarify how the testing will be conducted?”
(테스트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설명해 주시겠어요?)
• Host: “Of course. We’ll run two internal tests before inviting users for beta testing.”
(물론입니다. 베타 테스트 전에 내부 테스트를 두 번 진행할 예정입니다.)
• Client: “That sounds good. Please share the detailed timeline.”
(좋습니다. 상세 일정을 공유해 주세요.)
• Host: “I’ll send the document right after the meeting.”
(회의 직후 문서를 보내드리겠습니다.)
4. 내부 팀 주간 회의 (Weekly Team Sync)
상황: 매주 정기적으로 진행되는 팀 내부 점검 회의입니다.
대화 예시
• Host: “Let’s get started. First, can everyone give a quick update?”
(시작하겠습니다. 먼저 각자 간단히 업데이트를 해주시겠어요?)
• John: “We finished the draft report, but need feedback from the design team.”
(보고서 초안을 완료했지만, 디자인팀의 피드백이 필요합니다.)
• Host: “Emma, can your team review it by Friday?”
(엠마, 팀에서 금요일까지 검토해 주실 수 있나요?)
• Emma: “Yes, that works for us.” (네, 괜찮습니다.)
• Host: “Perfect. Let’s schedule a follow-up for next Monday to check progress.”
(좋습니다. 다음 주 월요일에 후속 회의를 잡아 진행 상황을 확인합시다.)
5. 긴급 이슈 대응 회의 (Emergency Issue Response)
상황: 갑작스러운 문제(예: 서버 장애)가 발생했을 때 대응을 논의하는 회의입니다.
대화 예시
• Host: “Thanks for joining on such short notice. We’re facing a server outage.”
(갑작스러운 소집에도 참석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현재 서버 장애가 발생했습니다.)
• Tech Lead: “I’m afraid the issue is bigger than expected. We may need 6 hours to fix it.”
(문제가 예상보다 큽니다. 해결하려면 6시간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Host: “Understood. What’s the immediate workaround?”
(알겠습니다. 당장 할 수 있는 임시 조치는 무엇인가요?)
• Tech Lead: “We can reroute traffic to the backup server.”
(트래픽을 백업 서버로 돌릴 수 있습니다.)
• Host: “Good. Let’s proceed with that. I’ll update the client immediately.”
(좋습니다. 그렇게 진행합시다. 제가 즉시 고객에게 알리겠습니다.)
11장. 화상회의 문화·매너 표현
화상회의에서는 단순히 영어 표현을 아는 것 이상으로, 발언 태도와 매너가 중요합니다.
특히 줌이나 팀즈 같은 온라인 환경에서는 상대방이 몸짓이나 분위기를 잘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말을 건네는 방식과 표현의 예의가 회의 분위기를 좌우합니다.
1. 끼어들 때 매너 있는 표현
상대방이 말하는 도중에 꼭 질문하거나 의견을 말해야 할 때는 정중하게 양해를 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표현 예시
• “Sorry to interrupt, but may I add something here?”
(말씀 중에 죄송하지만, 여기서 한 가지 보태도 될까요?)
• “If I may jump in for a second…” (잠깐 끼어들어도 된다면…)
• “Excuse me, can I clarify one point?” (실례지만, 한 가지 확인해도 될까요?)
• “Sorry, just a quick note on that.”
(죄송하지만, 그 부분에 대해 짧게 말씀드리겠습니다.)
2. 동료 칭찬·격려
다른 참가자의 아이디어나 발표를 인정하는 표현은 회의의 협력적 분위기를 강화합니다.
표현 예시
• “That’s a great idea, thanks for sharing.”
(정말 좋은 아이디어네요, 공유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Excellent presentation, very clear.”
(훌륭한 발표였습니다, 매우 명확했습니다.)
• “I really appreciate your input.”
(당신의 의견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That was very insightful.”
(정말 통찰력 있는 의견이었습니다.)
3. 예의 있게 의견 반대하기
상대방의 의견에 동의하지 않을 때도 부드럽게 표현해야 관계를 해치지 않습니다.
표현 예시
• “I see your point, but I have a different view.”
(말씀하신 부분 이해는 하지만, 제 생각은 다릅니다.)
• “That’s an interesting idea, though I’m not sure it fits our situation.”
(흥미로운 아이디어지만, 현재 상황에 맞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 “I respect your opinion, but I’d like to offer another perspective.”
(의견을 존중하지만, 다른 관점을 제시하고 싶습니다.)
• “That could work, but have we considered the risks?”
(그것도 가능하지만, 위험 요소는 고려해 보셨나요?)
사례 미니 대화 예시
대화 예시 1 – 끼어들기
• Speaker A: “We should allocate more budget to offline events”
(우리는 오프라인 이벤트에 더 많은 예산을 배정해야 합니다)
• Speaker B: “Sorry to interrupt, but may I add something here?
I think online ads could give us more reach.”
(말씀 중에 죄송하지만, 한 가지 말씀드려도 될까요?
온라인 광고가 더 많은 도달 범위를 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대화 예시 2 – 칭찬
• Presenter: “…and that concludes my presentation.”
(…이것으로 제 발표를 마치겠습니다.)
• Participant: “Excellent presentation, very clear and helpful.”
(훌륭한 발표였습니다, 아주 명확하고 도움이 되었습니다.)
대화 예시 3 – 정중한 반대
• Team A: “I think we should delay the product launch until September.”
(제품 출시를 9월까지 늦춰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Team B: “I see your point, but I think a July launch would give us a competitive edge.”
(말씀하신 부분 이해하지만, 7월 출시가 우리에게 경쟁 우위를 줄 것 같습니다.)
12장. 취준생·신입 직장인을 위한 표현
신입사원이나 인턴, 혹은 면접 상황에 있는 취준생은 화상회의에서 주로 자기소개를 하고,
간단한 의견을 덧붙이거나, 배우는 자세를 보여야 할 때가 많습니다.
따라서 정중하면서도 자신감을 표현하는 문구를 익혀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자기소개 멘트
첫 회의에서 신입사원이 간단히 자기소개할 때 사용할 수 있는 표현입니다.
표현 예시
• “Hello, my name is [Name], and I recently joined the company as a junior analyst.”
(안녕하세요, 제 이름은 [이름]이고, 최근에 주니어 애널리스트로 입사했습니다.)
• “I’m excited to be part of this team and look forward to learning from all of you.”
(이 팀의 일원이 되어 기쁘고, 여러분께 많이 배우고 싶습니다.)
• “This is my first project with the company, so I appreciate your support.”
(이 회사에서의 첫 프로젝트라 여러분의 도움에 감사드립니다.)
2. 적극적 참여 표현
신입이라도 회의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태도를 보여주면 긍정적인 인상을 남깁니다.
표현 예시
• “I’d like to add a quick comment, if I may.”
(괜찮으시다면 짧게 의견 하나 드리고 싶습니다.)
• “I don’t have much experience yet, but here’s my thought…”
(아직 경험은 많지 않지만, 제 생각은 이렇습니다…)
• “I may not have the full context, but I believe this could help.”
(전체 맥락은 다 알지 못하지만, 이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That’s interesting, and I’d love to learn more about it.”
(흥미로운 내용이네요, 더 배우고 싶습니다.)
3. 배움·겸손 강조
신입은 배움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태도가 오히려 장점으로 작용합니다.
표현 예시
• “I may need some guidance on this project.”
(이 프로젝트에서는 약간의 지도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 “I’m eager to learn from this experience.”
(이 경험을 통해 배우고 싶습니다.)
• “Thank you in advance for your patience as I get up to speed.”
(제가 적응하는 동안 인내심을 가져주셔서 미리 감사드립니다.)
• “I really appreciate any feedback you can give me.”
(피드백을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사례 미니 대화 예시
대화 예시 1 – 자기소개
• Host: “Let’s quickly introduce ourselves. Sarah, would you like to start?”
(짧게 자기소개를 해봅시다. 사라, 먼저 하시겠어요?)
• Sarah: “Hello, my name is Sarah Kim. I recently joined as a junior analyst in the finance team.
I’m excited to work with you all.”
(안녕하세요, 제 이름은 사라 김이고, 최근에 재무팀의 주니어 애널리스트로 입사했습니다.
여러분과 함께 일하게 되어 기쁩니다.)
대화 예시 2 – 적극적 참여
• Manager: “Any thoughts on the new proposal?”
(새 제안에 대한 의견 있나요?)
• New Hire: “I don’t have much experience yet,
but here’s my thought: maybe we could simplify the workflow to save time.”
(아직 경험은 많지 않지만 제 생각은 이렇습니다.
워크플로우를 단순화하면 시간을 절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Manager:
“That’s a good point. Thanks for sharing.”
(좋은 지적이에요. 공유해줘서 고맙습니다.)
대화 예시 3 – 배움 강조
• Host: “This project will require close client communication.”
(이번 프로젝트는 고객과의 긴밀한 소통이 필요합니다.)
• New Hire: “I may need some guidance on how to handle client calls,
but I’m eager to learn from this experience.”
(고객 전화를 어떻게 다뤄야 할지는 지도가 필요할 것 같지만, 이번 경험을 통해 배우고 싶습니다.)
• Host: “No problem, we’ll support you.”
(괜찮아요, 우리가 도와줄 겁니다.)
13장. 글로벌 팀 협업에서 자주 쓰는 표현
글로벌 팀과 함께하는 화상회의는 단순한 업무 회의보다 더 복잡합니다.
시간대가 다르고, 언어 숙련도가 다르며, 협업 방식도 문화권마다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런 회의에서는 시차 고려, 언어 배려, 지역 간 협업 강조표현이 필수적입니다.
1. 시차 언급
참석자들의 시간대를 고려해 발언하는 것은 기본적인 배려입니다.
표현 예시
• “It’s quite late here in Seoul, so let’s try to keep it brief.”
(여기는 서울이라 꽤 늦은 시간입니다. 회의를 짧게 진행하겠습니다.)
• “Thanks for joining so early in your morning.”
(아침 일찍 참석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I understand it’s the end of the day for some of you.”
(몇몇 분들께는 하루를 마무리하는 시간인 걸 압니다.)
• “We tried to schedule this at a time that works across most time zones.”
(가능한 많은 시간대에 맞도록 이 회의를 잡았습니다.)
2. 언어 배려
참석자의 영어 수준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말할 때 속도를 조절하거나 문장을 다시 표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표현 예시
• “Let me rephrase that for clarity.”
(더 명확히 하기 위해 다시 표현하겠습니다.)
• “If anything is unclear, please feel free to ask.”
(혹시 불분명한 부분이 있으면 언제든 질문해 주세요.)
• “I’ll try to keep my sentences simple.”
(문장을 간단히 말씀드리겠습니다.)
• “Would you like me to repeat that more slowly?”
(좀 더 천천히 다시 말씀드릴까요?)
3. 국제 프로젝트 진행 멘트
여러 국가가 협력하는 프로젝트에서는
‘정렬(align)’이나 ‘공동 추진’을 강조하는 표현이 자주 쓰입니다.
표현 예시
• “We need to align across all regions.”
(모든 지역 간의 방향성을 맞춰야 합니다.)
• “This project requires close collaboration between Asia and Europe.”
(이 프로젝트는 아시아와 유럽 간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합니다.)
• “Let’s make sure we’re consistent in our communication.”
(우리의 소통이 일관되도록 합시다.)
• “We’ll need regular updates from each regional team.”
(각 지역 팀에서 정기적인 업데이트가 필요합니다.)
사례 미니 대화 예시
대화 예시 1 – 시차 고려
• Host: “Thanks for joining, everyone.
I know it’s quite late in Seoul and very early in New York.”
(참석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서울은 꽤 늦은 시간이고 뉴욕은 아주 이른 시간인 걸 알고 있습니다.)
• Participant (Seoul): “Yes, but it’s fine. Let’s get started.”
(네, 괜찮습니다. 시작하죠.)
대화 예시 2 – 언어 배려
• Speaker: “We’ll need to optimize the infrastructure architecture
sorry, let me rephrase that. We need to improve the system’s basic structure.”
(인프라 아키텍처를 최적화해야 합니다. 죄송합니다, 다시 표현하겠습니다.
시스템의 기본 구조를 개선해야 합니다.)
• Participant: “Thank you, that’s much clearer.”
(감사합니다, 훨씬 명확합니다.)
대화 예시 3 – 국제 협업 강조
• Host: “This project requires close collaboration between Asia and Europe.
We need to align our goals and keep regular updates.”
(이 프로젝트는 아시아와 유럽 간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합니다.
목표를 맞추고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해야 합니다.)
• Participant (Europe): “Agreed. We’ll send a weekly status report.”
(동의합니다. 매주 현황 보고를 보내겠습니다.)
14장. 특수 상황별 표현
1. 발표자 교체(넘기기)
회의 중 다른 발표자에게 발언권을 넘길 때는
자연스럽게 이어주는 표현을 사용해야 합니다.
표현 예시
• “Now I’ll hand it over to Sarah.”
(이제 사라에게 마이크를 넘기겠습니다.)
• “John will take it from here.”
(여기서부터는 존이 이어서 진행하겠습니다.)
• “Let me pass the floor to our colleague in New York.”
(뉴욕에 있는 동료에게 발언권을 넘기겠습니다.)
• “Sarah, would you like to continue?”
(사라, 계속 이어서 하시겠어요?)
2. 기술 데모 진행
제품이나 기능을 시연하는 회의에서는 기술적 흐름을 안내하는 멘트가 필요합니다.
표현 예시
• “Let me walk you through the steps.”
(단계별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 “As you can see on the screen, this is the new interface.”
(화면에서 보시다시피, 이것이 새로운 인터페이스입니다.)
• “I’ll demonstrate how the feature works.”
(이 기능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시연해 보겠습니다.)
• “Please let me know if the screen is visible.”
(화면이 잘 보이시면 말씀해 주세요.)
3. 돌발 상황 대처
회의 중에는 잡음이나 방해 요소 같은 예기치 못한 상황이 종종 발생합니다.
이를 부드럽게 처리하는 멘트가 필요합니다.
표현 예시
• “Sorry for the background noise.”
(배경 소음이 있어 죄송합니다.)
• “Please mute your mic if you’re not speaking.”
(말씀하지 않으실 때는 마이크를 꺼주세요.)
• “Let’s take a short pause while John reconnects.”
(존이 다시 접속하는 동안 잠시 멈추겠습니다.)
• “We’ll wait a moment for the slides to load.”
(슬라이드가 로드될 때까지 잠시 기다리겠습니다.)
사례 미니 대화 예시
대화 예시 1 – 발표자 교체
• Host: “That’s all from me. Now I’ll hand it over to Sarah, who will explain the marketing plan.”
(제 부분은 여기까지입니다. 이제 마케팅 계획을 설명해 줄 사라에게 마이크를 넘기겠습니다.)
• Sarah: “Thanks. As you can see on the slide, our strategy is focused on social media.”
(감사합니다. 슬라이드에서 보시다시피, 저희 전략은 소셜 미디어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대화 예시 2 – 기술 데모
• Presenter: “Let me walk you through the steps of using this new tool.
First, you log in with your company account.”
(이 새로운 툴 사용 단계를 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회사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
• Participant: “Excuse me, the screen isn’t showing yet.”
(실례합니다, 화면이 아직 안 보입니다.)
• Presenter: “Oh, sorry about that. Let me share it again.”
(아, 죄송합니다. 다시 공유하겠습니다.)
대화 예시 3 – 돌발 상황 대처
• (배경에서 아이 소리가 들림)
• Host: “Sorry for the background noise, let’s continue.”
(배경 소음이 있어 죄송합니다. 계속 진행하겠습니다.)
• Participant: “No problem.”(괜찮습니다.)
• Host: “If everyone could mute their mic when not speaking, that would be great.”
(말씀하지 않으실 때는 마이크를 꺼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5장. 실전에서 자주 틀리는 표현 TOP 6
1. 잘못된 표현: “I will explain you”
→ 올바른 표현: “I will explain to you.”
• 잘못된 이유: “explain”은 직접목어를 취하지 않고, 반드시 전치사 to를 써야 합니다.
• 예시 대화:
- Wrong: “I will explain you the details.”
- Right: “I will explain to you the details.”
(자세한 내용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2. 잘못된 표현: “Let’s discuss about”
→ 올바른 표현: “Let’s discuss.”
• 잘못된 이유: “discuss” 자체가 “~에 대해 논의하다”라는 뜻이라 “about”이 필요 없습니다.
• 예시 대화:
- Wrong: “Let’s discuss about the new project.”
- Right: “Let’s discuss the new project.”
(새 프로젝트에 대해 논의합시다.)
3. 잘못된 표현: “Can you repeat again?”
→ 올바른 표현: “Can you repeat?”
• 잘못된 이유: “repeat” 자체에 “다시”라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어 “again”은 중복입니다.
• 예시 대화:
- Wrong: “Can you repeat again, please?”
- Right: “Can you repeat, please?”(다시 말씀해 주시겠어요?)
4. 잘못된 표현: “According to me”
→ 올바른 표현: “In my opinion.”
• 잘못된 이유: “According to”는 보통 자료, 규정, 남의 말 등을 근거로 할 때 쓰며 자기 의견에는 쓰지 않습니다.
• 예시 대화:
- Wrong: “According to me, we should start earlier.”
- Right: “In my opinion, we should start earlier.”(제 생각에는 우리가 더 일찍 시작해야 합니다.)
5. 잘못된 표현: “I’m agree”
→ 올바른 표현: “I agree.”
• 잘못된 이유: “agree”는 동사이므로 단순히 “I agree”라고 해야 합니다.
“I’m agree”는 문법적으로 틀린 문장입니다.
• 예시 대화:
- Wrong: “I’m agree with that point.”
- Right: “I agree with that point.”(그 의견에 동의합니다.)
6. 잘못된 표현: “We are five persons”
→ 올바른 표현: “There are five of us.”
• 잘못된 이유: 인원 수를 말할 때 단순히 “We are five persons”라고 하면 부자연스럽습니다.
“There are five of us”가 자연스러운 표현입니다.
• 예시 대화:
- Wrong: “We are five persons in the meeting.”
- Right: “There are five of us in the meeting.”
(회의에 우리 다섯 명이 있습니다.)
사례 종합 미니 대화
• A: “According to me, we should delay the launch.”
(제 생각에는 출시를 미뤄야 합니다.) [잘못된 표현]
• B: “Do you mean in your opinion?”
(혹시 ‘제 생각에는’이라고 말씀하신 건가요?)
• A: “Yes, in my opinion, we should delay the launch.”
(네, 제 생각에는 출시를 미뤄야 합니다.)
• C: “I agree. But can you repeat the timeline?”
(저도 동의합니다. 그런데 일정 다시 말씀해 주시겠어요?)
• D: “Sure. There are five of us working on this, so we can finish in two weeks.”
(네, 우리 다섯 명이 이 일을 맡고 있으니 2주 안에 끝낼 수 있습니다.)
■ [Part 1] 줌(Zoom), 팀즈, 미트 화상회의에서 자주 쓰는 영어 표현 50선 바로가기
- 지식 큐레이션 모든 컨텐츠는 재능아지트가 기획, 생성한 컨텐츠로 무단 사용 및 침해 행위를 금지합니다. -
© 재능아지트 | All rights reserved.